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 3가지를 예를 들겠습니다. 1.uptime 리턴 값에서 마지막 문자를 지워서 출력하기 2.파일에서 마지막문자 지워서 출력하기 *무슨 용도가 있냐고 할수 있는데 Shell 프로그래밍시 받아온 값의 마지막 자리에 필요없는 문자가 따라올때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 3가지를 예를 들겠습니다. 1.uptime 리턴 값에서 마지막 문자를 지워서 출력하기 2.파일에서 마지막문자 지워서 출력하기 *무슨 용도가 있냐고 할수 있는데 Shell 프로그래밍시 받아온 값의 마지막 자리에 필요없는 문자가 따라올때 사용합니다
예: 서버폴더:/var/log/docker_httpd01 컨테이너 폴더:/var/log/apache2 1.우선 docker를 정지시킵니다. 2.root권한이 아닐때 root로 교체후 컨테이너 폴더로 이동합니다. 컨테이너id는 docker ps 명령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3.hostconfig.json 과 config.v2.json 파일 편집 {“Binds”: 뒤에 [“/var/log/apache2:/var/log/docker_httpd01”] 추가 MountPoints”:{ 를 찾아 아래와 같이 추가하고 저장합니다 5.Docker 을 다시 시작하고
vim으로 json파일을 처음 편집하면 확인이 어렵게 나타납니다. 형식화전 파일 json형식화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Centos7에서 vim에 단축키로 추가하여 사용할려면 맨 마지막 줄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고 저장합니다. 그리고 다시 vim에서 <F4>키후 <ESC>를 누르면 json형식화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