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Linux강좌

Linux VIM 레벨링 가이드

vim의 학습 곡선은 상당히 크므로 ( 이미지 ) 처음에 많은 VIM 명령 범주가 표시되면이 편집기에 대한 관심이 사라집니다. 다음 기사는 ” Learn Vim Progressively ” 에서 번역되었으며 , 초보자를위한 최고의 VIM 업그레이드 튜토리얼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명령이 나열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장 유용한 명령 만 있습니다.  ——————————————————————————— 가장 빠른

Read More

Linux 장애 확인 및 해결 방향

1.에러 출력 메세지를 확인하고 분석하기 장애의 발생은 어딘가에 에러가 발생했음을 의미하고 에러 출력 메세지는 에러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2. 로그파일을 유심히 확인하기 로그파일을 확인하는 습관을 키우기 시스템 로그: 어플리케이션 로그: 3. 분석,위치파악,문제해결 분석 과정을 종합하고 로그로 방향을 잡으며

Read More

Linux history에 날짜,시간,IP,사용자 추가하여 기록하기

추가전 history명령을 사용하면 명령수와 명령만 나타납니다. /etc/profile 파일을 편집하고 맨 마지막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저장하고 source /etc/profile을 실행해 줍니다. 명령수,날짜,시간,IP,사용자,명령순으로 나타납니다.

Linux SSH로그인 환영메세지 수정

로그인메세지 /etc/motd파일 수정 [root@localhost ~]# vim /etc/motd 좀 더 개성있고 이쁘게 사용하려면Text to ASII Art 사이트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면됩니다.http://patorjk.com/software/taag 필요한 문자를 입력하고 생성하면 됩니다

Shell에서 마지막문자 지우기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 3가지를 예를 들겠습니다. 1.uptime 리턴 값에서 마지막 문자를 지워서 출력하기 2.파일에서 마지막문자 지워서 출력하기 *무슨 용도가 있냐고 할수 있는데 Shell 프로그래밍시 받아온 값의 마지막 자리에 필요없는 문자가 따라올때 사용합니다

vim으로 json형식 편집하기

vim으로 json파일을 처음 편집하면 확인이 어렵게 나타납니다. 형식화전 파일 json형식화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Centos7에서 vim에 단축키로 추가하여 사용할려면 맨 마지막 줄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고 저장합니다. 그리고 다시 vim에서 <F4>키후 <ESC>를 누르면 json형식화 됩니다.

Linux 파일의 기본 속성

Linux 시스템은 전형적인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사용자마다 위치가 다르고 권한이 다릅니다. 시스템의 보안을 보호하기 위해 Linux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파일 (디렉토리 파일 포함)에 액세스 할 수있는 권한에 대해 다른 규정을 적용했습니다. Linux에서는 ll 또는 ls –l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의 속성과

Read More

Linux 원격 로그인

원격 로그인을 사용하는 이유 Linux는 일반적으로 서버로 사용되며 서버는 데이터센터(IDC)에 배치되기에 Linux서버를 직접 연결하여 운영 할 수 없습니다. 현재 시스템을 관리하고 유지 관리하려면 Linux 서버에 원격으로 로그인해야합니다. Linux 시스템에서 원격 로그인 기능은 ssh 서비스를 통해 실현되며 기본 ssh 서비스 포트

Read More

Linux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

디렉토리 구조 확인 시스템에 로그인 한 후 현재 명령 창에 명령을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트리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 : 디렉토리 구조 설명 / bin :bin은 Binary의 약어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명령을 저장합니다. / boot :여기에는 Linux를 시작할 때 사용되는 일부

Read More

Linux 시스템 부팅 프로세스

Linux가 시작될 때 우리는 많은 시작 정보를 보게 될 것입니다. Linux 시스템의 시작 과정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복잡하지 않으며 5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커널의 부팅. init의 실행. 시스템 초기화. 터미널을 설립.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 초기화 프로그램의 종류 :

Read More